Html 공부/Html 작성 기초

문서형 선언, 언어지정, 문자 코드셋 지정하기

june0606 2024. 12. 1. 04:52

html4버전

https://studying-it.tistory.com/14

 

XHTML의 구성요소

마크업 언어란? 마크업(markup)이란 교정 기자들이 언론사에서 쓰는 특수 목적기법의 표기법으로 배치양식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는 언어이다. 들여쓰기와 줄간격,여백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.

studying-it.tistory.com

 

1. 문서형 선언

sublime text에 ! tab하고 누르면 나오는 기본 템플릿을 자세히 보면

<!DOCTYPE html>이 있다. 나는야 html이라고 선언하는 것인데 html에는 다양한 시리즈로 발전한 역사가 있다.

 

 

참고로 html 코드는 html 4가 있었다.

그리고 xhtml1.0 - xhtml1.1 - xhtml2.0 - html5 이 순서대로 발전하였다.

html5는 xhtml 시리즈보다 좀 더 유연하고, 호환성이 높다.

그래서 html 어떤 버전으로 선언하는지에 따라 다르다.

 

HTML4.01 - Strict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strict.dtd">

 

 

Html 4.01 - Transitional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

 

 

Html 4.01 - Frameset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Frameset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frameset.dtd">

 

 


 

 

XHTML 1.0 - Strict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Strict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strict.dtd">

 

 

XHTML 1.0 - Transitional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

 

 

XHTML 1.0 - Frameset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Frameset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frameset.dtd">

 

 

 

 

html 4, xhtml은 같은 문서 안에서 Strict, Transitional, Frameset 3가지로 나뉘어진다.

 

<Strict> : 엄격한 - 문서구조를 짤 때 HTML을 짤 때 지원되지 않는 태그, 권장되지 않는 태그를 쓰게 되면 올바로 렌더링이

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 즉, 권장되는 것만 표준에 맞는걸로만 작성을 해야한다.

 

<  Transitional > - 유연하게 작성 가능 :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것을 쓰더라도 렌더링이 가능. 오류를 표시하더라도 문제없이

사이트가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.

 

 <frameset> - 문서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집합을 정의할 때 사용된다.

<frameset>요소는 하나 이상의 <frame> 요소를 포함하며, 각각의 <frame>요소는 서로 다른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.

쉽게 말해 여러 개의 문서, 여러 개의 웹페이지를 한 번에 띄울 때 쓴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Html5에서는 지원이 되지 않는다.

 

아까 찾은 html transitional 선언문에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 언어지정

문서 타입별 기본 언어 표시

 

html 4.01 / html 5 표준

<html lang="ko">

 

 

Xhtml 1.0 표준

<html xmlns="http://www.w3.org/1999/xhtml" xml:lang="ko" lang="ko">

 

Xhtml 1.1 표준

<html xmlns="http://www.w3.org/1999/xhtml" xml:lang="ko">

 

 

 

 

태그는 언어를 지정하는 것이다.  en은 영국 영어로

각 나라의 언어 지정과 html 시리즈별 언어지정은 직접 찾아보는 것이 빠르다.

 

네임 스페이스와 언어코드 - <html lang="ko">

ko : 한국어

en : 영국 영어

en-US : 미국 영어

fr : 프랑스어

zh : 중국어

ja : 일본어

 

 

 

 

https://velog.io/@dhgg321/html-lang-%EC%86%8D%EC%84%B1

 

html lang 속성

데브코스 멘토님께 PR 리뷰를 받던 중 html lang 속성에 대해 리뷰를 작성해주셨다.나는 초기 html 태그를 생성 할때 !를 사용하여 기본 html 구조를 잡아 이때 까지 개발을 해왔다. !를 사용하여 기본

velog.io

 

 

참고 사이트 : https://cafe.naver.com/wepub

 

웹표준,웹디자인 : 네이버 카페

웹표준과 html을 공부하는 카페입니다.

cafe.naver.com

 

https://maybechrisk.tistory.com/13

 

[HTML] 2-2.문서형 선언, 언어 지정, 문자 코드 셋 지정하기

open folder 하거나 폴더를 드래그한다. 1. 문서형 선언 1) 역사 html4 -> xhtml1.0 -> xhtml1.1(Strict만)-> xhtml 2.0 -> html5로 발전 xhtml은 1.0 아주 엄격하게 짜여짐 1.1은 더 엄격 2.0이 문제. 너무 생소해서 일반

maybechrisk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3. 문자 코드세트 지정

문자 코드셋을 이해하려면 문자 인코딩에 대해 알아야 한다.

문자 인코딩 : 문자나 기호들의 집합을 컴퓨터에 저장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이다.

그렇게 부호화 된 것을 문자코드라고 한다.

 

각 html 시리즈마다 문자 코드셋이 다르니 각 상황에 맞춰 세팅하면 된다.

 

- html5 에서는 마임타입 불필요

<meta charset="UTF-8">

 

 

 

- html 4 문자 코드셋
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

 

종료가 없는 태그는 /가 없어도 되기 때문에
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>

이렇게 써도 된다.

 

 

- xhtml 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.
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application/xhtml+xml; charset=UTF-8" />

 

익스플로러에서 뜨지 않을 수 있어서 xhtml에서는 html4랑 마찬가지의 형식을 쓰는데 xhtml은 엄격해서

끝에 /를 빼면 안된다.
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st/html;charset=UTF-8"/>

이라고 쓴다.

 

 

참고로 코드를 줄바꿈 바꾸려면 view - word wrap을 선택하면 된다.

'Html 공부 > Html 작성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eta 요소 알아보기  (0) 2024.12.02
Html 태그 작성 문법  (0) 2024.12.01
웹 표준  (0) 2024.12.01